트럼프가 만든 ‘깐깐한 시험’, 바이든이 폐지하더니… 돌고 돌아 부활한 진짜 이유

2025-09-18 16:50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 귀화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더 높고 험난한 장벽이 세워질 전망이다. 미국 국토안보부와 연방이민국이 오는 10월 중순부터 미국 시민권 취득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귀화 시험의 난이도를 대폭 상향 조정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문제 몇 개를 더 추가하는 수준을 넘어, 시험의 구조와 평가 기준 자체를 더 까다롭게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어 귀화 신청자들의 상당한 부담이 예상된다.

 

미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8년판' 시험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도입되었다가 5개월 만에 폐지되었던 '2020년판' 시험이 전격 부활한다. 두 시험 버전의 차이는 명확하다. 귀화 신청자가 시험을 대비해 공부해야 할 '역사와 정부' 관련 문제은행 문항 수가 현행 100개에서 128개로 늘어난다. 암기하고 숙지해야 할 내용의 범위 자체가 넓어지는 것이다.

 

더욱 실질적인 변화는 실제 시험 현장에서 일어난다. 시민권 시험은 귀화 면접 과정에서 이민국 직원이 문제은행에서 무작위로 문항을 뽑아 질문하고 신청자가 구두로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행 '2008년판' 시험에서는 면접관이 10개의 질문을 던지고 이 중 6개 이상을 맞히면 합격이지만, 부활하는 '2020년판' 시험에서는 총 20개의 질문을 받게 되며 합격 기준선 역시 12개 이상 정답으로 크게 높아진다. 맞춰야 하는 절대적인 문항 수가 두 배로 늘어나는 셈이라, 신청자들이 체감하는 압박감은 훨씬 클 수밖에 없다.

 


흥미로운 지점은 이 '2020년판' 시험이 겪어온 파란만장한 역사다. 이 시험은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이민 장벽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2020년 12월 1일 야심 차게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듬해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불필요한 장벽을 만든다"는 이유로 취임 직후 이 시험을 즉각 폐지하고, 불과 5개월 만인 2021년 5월 1일부터 다시 '2008년판' 시험으로 되돌려 놓았다. 정권 교체에 따라 시험 제도가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를 탄 셈인데, 이번에 바이든 행정부가 스스로 폐지했던 트럼프 시대의 '어려운 시험'을 다시 부활시키기로 결정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시민권 시험의 문턱이 높아지면서 불합격에 대한 공포도 커지게 됐다. 시험에서 기준 점수를 넘지 못해 불합격할 경우, 단 한 차례의 재시험 기회만이 주어진다. 만약 두 번째 시험에서도 불합격 통보를 받게 되면, 해당 귀화 신청 건은 최종적으로 거부 처리되어 미국 시민이 되려던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 이처럼 단 두 번의 기회에 모든 것이 걸려있는 만큼, 더 넓어진 학습 범위와 까다로워진 합격 기준은 귀화 신청자들에게 상당한 심리적, 실질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