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규제 앞두고 '보험' 들었나? 쿠팡, 공무원 '싹쓸이' 영입

2025-07-04 10:53

대통령실, 공정거래위원회, 고용노동부 등 정부 핵심 부처에서 근무했던 공무원들이 이례적으로 대거 쿠팡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직 사회에서 특정 기업으로의 '집단 이직'은 매우 드문 현상으로, 일각에서는 쿠팡이 이재명 정부의 플랫폼 규제 강화 기조에 맞춰 '대관 역량'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이라는 분석과 함께 '전관예우'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다.3일 인사혁신처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2025년 6월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는 이러한 의혹에 불을 지폈다. 이 심사에서 쿠팡 및 계열사 취업이 승인된 퇴직 공직자는 무려 6명. 올해 들어서만 총 7명이 쿠팡행을 확정 지었거나 심사를 앞두고 있어, 인사처 관계자조차 "한 달에 6명이 같은 기업으로 이직하는 건 매우 이례적"이라며 놀라움을 표했다.

 

이직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쿠팡의 '전략적 영입' 의도는 더욱 명확해진다. 대통령실 선임 행정관(3급 상당)이 쿠팡 본사 상무로, 산업통상자원부 별정직 3급(장관 보좌관)이 본사 부장으로, 검찰청 7급이 쿠팡 부장으로 자리를 옮긴다. 특히, 플랫폼 규제의 핵심 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 4급 공무원은 쿠팡페이 전무로 직행할 예정이며, 경찰청 경위는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 현장 관리자로, 고용노동부 6급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부장으로 각각 재취업이 가능해졌다. 여기에 기획재정부 팀장(4급)까지 쿠팡 이직을 위한 심사를 앞두고 있어, 정부 주요 부처의 '쿠팡행 러시'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공정위 출신 인사의 쿠팡행은 이번이 세 번째로, 과거 이숭규 전 카르텔총괄과장(쿠팡 전무)과 5급 사무관(쿠팡 상무)에 이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쿠팡은 지난해 자체 브랜드 상품 노출 알고리즘 조작 혐의로 공정위로부터 1628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 과징금을 부과받고 현재 행정소송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공정위 출신 인사를 연이어 영입하는 것은 단순한 인력 충원을 넘어선 '방어적 전략'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쿠팡이 공정위와 마찰을 겪으면서 정부와의 소통 부재가 지적된 바 있다"며, "새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잠재적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정부 부처 출신 인사들을 '방패막이' 삼아 영입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공직자윤리법상 재산 등록 의무가 없는 일부 공무원(통상 4급 미만)은 퇴직 후 3년 내 재취업 시 심사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실제 쿠팡으로 이직한 공무원의 수는 공식 확인된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쿠팡발 공무원 대이동' 현상이 정부의 플랫폼 규제 정책과 기업의 대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전관예우' 논란을 넘어선 투명한 공직자 재취업 시스템 마련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